진딧물 증상 | |||||
성충 및 유충이 어린 싹이나 잎 뒷면에서 떼를 지어 즙액을 빨아먹어 잎이 위축되거나 기형이 되고 생육이 정지된다. 진딧물의 밀도가 높아지면 잎 뒷면에서 집중 가해하여 진딧물이 배설한 감로가 잎위에 떨어지고 감로에 그을음병균이 번식하여 탄소동화작용을 저해한다. 또한 100여종의 바이러스를 매개하여 큰 피해를 준다. 기주로는 복숭아나무, 살구나무, 자두나무, 고추, 오이, 담배, 감자, 목화 등이 있다. | |||||
| |||||
<고추잎을 가해하는 복숭아 혹진딧물과 감로> | |||||
진딧물 형태 및 생태 |
○ 형태 유시충은 몸길이가 2.0∼2.5mm 정도이며, 몸 색깔은 황갈색, 연한 황색 또는 녹색이다. 무시충은 몸길이가 1.8∼2.5mm이며 몸색깔은 연한황색, 녹황색, 녹색, 분홍색 또는 거무스름한 색을 띤다. 여름에는 날개 있는 복숭아혹진딧물 유시충이 낳은 약충은 극히 작고 선황색이다. ○ 생태 각종나무의 겨울눈, 조피 밑에서 알로 월동하며 3∼4월에 부화한다. 겨울 기주에서 1∼2세대를 경과하다가 5월 상순에 유시충이 되어 여름 기주인 고추로 이동한다. 10월 중·하순에 겨울 기주인 복숭아나무 등으로 이동하여 11월 중·하순에 교미한 후 겨울눈 부근에 산란하여 알 상태로 월동한다. 1년에 9∼23세대 발생하며 수명은 29일 정도이다. 온실내에서는 연중 발생하기도 하며 암컷 한 마리가 50∼118개의 알을 낳는다. 진딧물이 많이 발생하는 고추포기 근처에는 진딧물 천적인 칠성풀잠자리 알과 무당벌레 유충이 생존한다. |
![]() |
<고추잎을 가해하는 복숭아 혹진딧물과 감로> |
진딧물 대책 |
정식 전에 약제방제를 충분히 한 후 정식하고 재배 중에는 코니도입제, 대포입제, 코니도수화제, 란네이트, 적시타유제, 체스수화제, 주렁유제 등을 잎의 앞뒷면에 고루 묻도록 살포한다. 시설재배에서는 복숭혹진딧물의 천적인 싸리진디벌을 발생초기에 방사하면 효과가 있다. |
담배나방 증상 |
담배나방의 피해는 애벌레가 잎을 갉아먹거나 과실 속으로 파고 들어가 종자부터 먹기 시작하여 과육까지 가해하여 껍질만 남아 마르게 되면, 하얗게 되거나 침입하며 뚫어 놓은 구멍으로 빗물이 들어가거나 병균이 침입하여, 고추가 썩어 떨어지게 되어 상품성이 전혀 없다. |
![]() |
<담배나방에 의해 피해 입은 과실과 과실을 뚫고 나오는 담배나방> |
어린유충이 침입한 구멍은 바늘로 찔러놓은 것처럼 까만 점 정도의 흔적밖에 남지 않아 피해를 확인하기 어렵다. 또한 유충이 다 자랄 때까지 한개의 고추만 먹는 경우보다는 4∼11개 정도의 고추를 먹고 자라며, 다른 고추로 이동할 때 이것저것 먹어보기 때문에 그로 인해 생긴 상처로 생리장애나 무름병 등이 감염이 된다. |
담배나방 형태 및 생태 |
○ 형태 성충은 황갈색으로 몸길이는 17mm, 날개를 편 길이가 3.5cm 정도이며, 앞날개는 황갈색 바탕에 가느다란 갈색의 가로무늬가 있다. 뒷날개는 담갈색 바탕에 가장자리에 두터운 검은 띠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앞날개 색깔은 밝은 황색에서 흑색까지 다양하며, 암컷의 색이 수컷의 색보다 더 황색을 띠며 날개무늬가 뚜렷하다. 유충은 어릴 때는 녹색이며 노숙유충은 담녹색 바탕의 등 양쪽 가장자리에 흰색의 줄이 있으며 마디마다 2∼개의 검은 점이 있다. 알은 직경이 0.4mm로 둥글고 밑면이 넓고 위로 갈수록 좁아지는 경향이며 가로 세로로 줄무늬가 있으며 세로줄이 더 뚜렷하다. ○ 생태 담배나방은 6월경부터 우화하며 년 2∼3회 발생하고, 8월과 9월에 1회씩 발생하여 최성기를 이룬다. 번데기로 땅속에서 겨울을 지내며, 다음 해 6월부터 성충이 되어 발생하여 대개 담배부터 가해한다. 7월부터 고추에서 피해를 주기시작하나 시설 내에서는 연중 계속적인 발생이 가능하다. 담배나방의 산란은 90∼600개이상 알을 낳고, 9∼11일 정도 산다. 알은 잎, 과일, 줄기, 꽃의 순으로 많이 발견된다. 알에서 깨어난 유충은 열매의 꼭지부근부터 파고 들어가 과일의 종자부분을 먹으며 자란다. 알에서 유충, 번데기, 성충이 되기까지 기간은 50여일 정도이며, 고추에 피해를 주는 유충기간은 25∼30일 정도이다. 9월하순 이후 번데기가 되는 개체들은 땅속에서 흙으로 거푸집을 짓고 월동을 한다. |
담배나방 대책 |
담배나방은 약제가 들어갈 수 없는 과실 속에서 주로 생활하는 특성으로 방제가 매우 어렵다. 주요 방제로는 경종적방법과 알 기생봉을 이용한 생물적 방제 및 농약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경종적방법으로는 정식전 토양을 경운하여 토양속에서 월동하는 번데기를 노출시켜 죽게 하거나, 피해 받은 열매나 식물체를 소각하는 방법이다. 알 기생봉을 이용하는 생물적 방제는 약해, 잔류독성의 문제점을 줄이면서 알을 죽이기 때문에 고추의 유충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아직 실용단계는 아니다. 농약 방제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알에서 깨어나 과실로 들어가기 전까지 농약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시기상 7월 하순에서 8월 상순이 중요한 방제시기가 된다. 방제는 7일 주기로 3회 이상 방제를 해야만 하고, 그렇지 않으면 상당한 유충피해가 발생된다. 방제시 적어도 수확 10일 전에 방제가 끝나야 하며 지오신수화제, 델타린유제, 에스펜발러레이트유제, 메소밀액제, 아시트유제, 프로싱유제, 할로스린수화제, 주론수화제(디밀린), 메소밀수화제, 다조아수화제, 다자바수화제 등이 등록되어있다. |
총채벌레 증상 | |||
총채벌레는 주로 잎 뒷면을 집단으로 즙액을 빨아먹어 피해를 주며, 흰점으로 된 식흔을 남기며, 앞면은 옅은 황색으로 퇴색한 점무늬가 보이고 뒷면의 표면은 갈색으로 번들번들하게 된다. 주로 어린 잎이나 생장점 부근에서 피해가 먼저 나타난다. 건조할 때 발생이 심하며 피해가 크다. 잎 뿐만 아니라 꽃, 과경, 과탁에도 기생하여 과실의 기형과와 상처를 남겨 상품성을 저하시킨다. 특히 꽃피는 시기에 총채벌레의 밀도가 높으면 꽃속에서 유충과 성충이 가해하여 쉽게 꽃이 떨어져 수량이 감소하게 된다. 과실을 가해하면 어릴 때 피해를 입은 과실은 표면이 코르크화 되고 비틀어져 기형이 되고 수확하여 건조하여도 코르크와 같은 상처가 생겨 상품성이 낮아 소비자의 구매성이 떨어진다. | |||
| |||
<꽃노랑총채벌레 와 피해증상> | |||
총채벌레 형태 및 생태 |
○ 형태 고추를 가해하는 총채벌레는 몇종이 있으나 경제적으로 가장 피해가 큰 종류는 꽃노랑총채벌레(Frankliniella occidentalis)이다. 성충은 1∼2mm 정도로 작고 몸통은 담황색 또는 연한 갈색을 띠며 막대기모양의 긴 시맥에 긴 털이 규칙적으로 붙어 있는 날개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멀리 날지는 못하고 튀어서 이동 하는 것이 특징이다. 유충은 유백색 또는 황색으로 날개가 없다. 유충기를 거쳐 번데기가 되는데 번데기는 유충과 매우 유사하나 식물체를 가해하거나 움직이지 않으며 날개가 생기는 단계이다. 알은 0.3mm 정도로 아주 작고 길쭉하며 식물체 내 부드러운 조직 속에 있다. ○ 생태 총채벌레는 4~11월까지 발생하고, 알에서 성충까지 14∼17일정도 소요되며 수명은 1개월 정도이다 암컷은 식물표면의 조직속에 산란관을 찔러 알을 낳고 그 위를 분비물로 덮어 둔다. 대부분 암컷 1마리가 20∼170개의 알을 낳는다. 알이 부화하는데 5∼7일이 소요된다. 25℃에서 알 → 1령충 → 2령충 → 전의용 → 후의용 → 성충의 한세대를 완료하는데 17일 정도 소요된다. 유충은 식물체의 연한 조직을 가해하며 일주일 후 번데기가 된다. 번데기는 잎이나 땅에서 1주일 후 성충이 된다. |
총채벌레 대책 |
육묘시설에서는 환기창에 한랭사를 쳐서 밖에서 성충이 날아들지 못하게 한다. 시설재배에서도 천창과 측창에 한랭사를 씌워 성충이 날아드는 것을 막는다. 알은 식물체 조직 속에 있으며 번데기는 잎이나 토양 속에 있으므로 1회 약제살포로는 방제가 어렵다. 따라서 5일 정도의 간격으로 3회 이상 집중 방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천적으로는 애꽃노린재, 포식성 이리응애 등이 있으며 대량증식 연구가 진행 중이므로 향후 실용화가 가능하다. |
출처 : 歸田園居
글쓴이 : 自請妃 원글보기
메모 :
'건강작물 > 고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고추의 병해충 - 흰가루병 (0) | 2015.12.18 |
---|---|
[스크랩] 고추의 병해충 - 반점세균병 (0) | 2015.12.18 |
[스크랩] 고추 재배 일정표 (0) | 2015.12.18 |
[스크랩] 중부지방의 고추정식하기 (0) | 2015.12.18 |
[스크랩] 고추재배법 (0) | 2015.1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