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작물/까마중

[스크랩] 까마중

현금호(流川) 2015. 12. 18. 16:03

까마중

  • 이칭별칭

    강태, 깜두라지, 까마종이, 용규(龍葵)

  • 유형

    동식물

  • 성격

    식물, 풀

  • 학명

    Solanum nigrum L.

  • 생물학적 분류

    가지과

  • 외형(크기|길이|높이)

    높이 20∼90㎝

  • 출산·개화시기

    5∼7월

정의

가지과에 속하는 일년생 초본식물.

내용

강태·깜두라지·까마종이·용규(龍葵)라고도 한다. 학명은 Solanum nigrum L.이다.

높이는 20∼90㎝로 옆으로 많이 퍼지며 원줄기에 능선이 약간 나타난다. 잎은 어긋나고[互生], 난형이며, 끝은 뾰족하거나 뭉툭하고, 밑은 둥글거나 뾰족하다. 길이 6∼10㎝, 너비 4∼6㎝로 가장자리에 밋밋하거나 파도모양의 톱니가 있다.

꽃은 5∼7월에 백색으로 피며, 화서(花序)는 잎보다 위에서 나오고, 1∼3㎝의 꽃대 위에 산형(傘形)으로 달린다. 과실은 장과(漿果)로 구형이며 검게 익는다. 까마중은 밭이나 길가에 흔히 자라는 인리식물(人里植物)이며 우리나라 각지에 나고 열대 및 온대에 널리 분포한다.

어린잎을 삶아서 우려내어 독성을 제거, 나물로 하며, 열매는 식용한다. 이 식물은 알칼로이드인 솔라닌을 함유하고 있어 전초를 한방에서 해열·이뇨·피로회복제로 약용한다.

참고문헌

  • 『대한식물도감(大韓植物圖鑑)』(이창복, 향문사, 1982)
  • 『약용식물학』(임기흥, 동명사, 1961)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NAVER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관련이미지

까마중

까마중 가지과에 속하는 일년생 초본식물. 강태, 깜두라지, 까마종이, 용규라고도 한다. 높이는 20∼90㎝로서 꽃은 5∼7월에 백색으로 피며, 과실은 구형으로 검게 익는다. 우리 나라 각지에 나고 열대 및 온대에 널리 분포한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네이버 지식백과] 까마중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