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작물/삼채

[스크랩] 삼채 재배 방법

현금호(流川) 2013. 2. 28. 20:18

삼채 재배 방법

 

토양

- 모래가 섞인 땅 물 빠짐이 좋은 땅이 좋습니다. (사질토)

- 만일 진흙 땅이나 습기가 많으면 잔뿌리가 생겨 상품성이 떨어집니다.

- 토심은 깊은 곳이 좋습니다.

 

기후

- 삼채는 원래 해발 1.400 ~ 4,200m 고 냉지 식물 입니다.

- 2010년부터 한국 전역 약 6곳에 시험 재배한 결과 한국 어느 지역이든 재배가 가능한 것으로 확인 되었습니다.

- 노지 월동 합니다. 그리고 2011년 겨울 지리산 하동 청학동의 해발 600m 밭에서 한겨울 노지에서 월동시킨 후 채취를 했을 때 싱싱하게 살아 있었습니다.

 

식재 전 준비 사항

- 식재 할 밭에 두엄을 넉넉히 깔고 깊이 갈아 흙을 부드럽게 한 후에 너비 1m 정도의 이랑을 만듭니다. 더 넓어도 문제가 없습니다.

(물빠짐이 나쁜 곳은 두둑을 높게 만들어 주시면 좋습니다. 되도록이면 물빠짐이 좋은 곳에 심기를 권장 합니다.)

- 여기에 멀칭 비닐을 씌움니다.

- 삼채를 심고 난 후 비닐을 씌우고 그 다음 새싹이 올라오면 구멍을 뚫어 주셔도 됩니다.

 

식재 및 식재 시기

- 반드시 종근을 분근 해 사용 합니다.

- 눈이 2~3개 정도 붙은 것을 사용 합니다.

- 눈 아랫부분 3~4정도를 자른 후 자른 부분은 생식으로나 요리해 드시고 나머지는 심으시면 됩니다.

- 통상 15~20cm 간격으로 심으면 평당 40~50주 정도(약 500g)의 종묘가 필요 합니다.

- 식재는 3월 부터 4월 중 순 사이가 좋으며, 늦게 심으면 수확량이 감소 합니다.

 

병충해 관리

- 무농약 재배 합니다. 재배 중 특별한 병충해는 없는 것으로 관찰 됨 따라서 농약이나 다른 방제는 필요 없는 것으로 확인 되었습니다.

- 유해조수 방지

미얀마 현지에서 삼채를 민가나 과수원 주위에 많이 심는 이유는 유해조수를 비롯한 벌레를 쫒아주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 다만 늦은 가을 수확할 경우 굼벵이가 뿌리부분에 생기는 현상이 있는 데 이는 유황성분을 좋아하기 때문으로 추측하고 있습니다.

 

성장 및 수확

- 심은 후 2개월 이내의 부드러운 어린 잎과 줄기는 파, 마늘 줄기 등 의 대용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 통상 여름철에 올라오는 꽃대(쫑)는 마늘쫑 처럼 여러 용도로 사용 할 수 있음

- 하지만 삼채의 가장 중요한 식용부위는 뿌리이므로 뿌리 수확에 주안점을 두어야 합니다.(뿌리는 4개월 후 부터 수확 가능 합니다.)

- 가장 좋은 수확시기는 시장가격이 높을때이지만 서리가 내린 후 뿌리의 발육이 집중적으로 이루어지는 점을 고려해야 합니다.

- 한 겨울의 노지 월동도 가능한 것으로 확인 되었습니다.(2012년 2월 26일 MBC실버 그린 고향이 좋다 방송 참조)

- 평당 수확량은 10kg 내외이지만, 밀식재배 혹은 토질이 좋으면 수확량이 평당 15~20kg로 증가 될 수 있습니다. 

 

 

출처 : 양평 문화탐방
글쓴이 : 맥결 원글보기
메모 :